도서

냉정한 이타주의자

그루나라86 2022. 8. 30. 17:08
728x90

 

1. 책 소개

선의와 열정에만 이끌려 무턱대고 실천하는
경솔한 이타주의의 불편한 진실
그의 철저하고 치밀한 데이터 분석에 반했다! - 빌 게이츠

무분별한 선행은 오히려 무익할 때가 많다. 실효가 전혀 없거나 오히려 해악을 끼치는 선행 사례는 도처에서 볼 수 있다. 아프리카 물부족 국가에 식수 펌프를 보급하려 했던 ‘플레이펌프스인터내셔널’은 선의와 열정만 앞세운 사업 운영으로 결국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으며 폐업했다. 저자는 광범위한 사업을 전개하는 월드비전, 옥스팜, 유니세프 등 거대 자선단체도 효율성이 떨어지긴 마찬가지라고 주장한다. 보건사업에 비해 비용은 더 많이 들고 효율은 더 떨어진다는 전문가들의 진단에도 재해구호에 전력을 기울이다시피 하기 때문이다. 개인 차원의 선행도 효과가 없기는 마찬가지다. 공정무역 제품 구매도, 노동착취 제품 불매도, 온실가스 감축 노력도 소용이 없다는 수치가 넘쳐난다. 일상적으로 실천하는 이타적 행위가 실제로 세상에 득이 되는지 실이 되는지 냉정하게 따져 봐야 하는 이유다. 이 책은 감정에 좌우되지 않는 냉정한 판단이 앞설 때라야 비로소 우리의 선행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일깨워 준다.



2. 목차


머리말 식수 공급과 해충구제 _ 13
빈곤층의 삶을 개선시키는 선행은 무엇일까?
Chapter 1 당신은 상위 1퍼센트다 _ 31
얼마를 더 벌어야 행복할까?
PART 1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냉정한 이타주의자 _ 44
효율적 이타주의의 5가지 사고법
Chapter 2 선택의 득과 실 _ 47
첫 번째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혜택이 돌아가는가?
Chapter 3 당신은 수백 명의 목숨을 구할 수 있다 _ 67
두 번째 이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인가?
Chapter 4 재해구호에 기부하면 안 되는 이유 _ 83
세 번째 방치되고 있는 분야는 없는가?
Chapter 5 1억2000만 명을 구한 사람 _ 99
네 번째 우리가 돕지 않았다면 어떻게 됐을까?
Chapter 6 투표는 수십만 원 기부나 다름없다 _ 117
다섯 번째 성공 가능성은 어느 정도이고,
성공했을 때의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PART 2 착한 일을 할 때도 성과를 따지는 _ 144
냉정한 이타주의자
효율적 이타주의의 실천적 해법
Chapter 7 CEO 연봉과 기부금 _ 147
가장 효율적으로 남을 돕는 곳은 어디일까?
Chapter 8 차라리 노동착취 공장 제품을 사라 _ 179
착한 소비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Chapter 9 열정을 따르지 마라 _ 203
세상을 가장 크게 변화시키는 직업은 무엇일까?
Chapter 10 빈곤 대 기후변화 _ 243
어떤 문제가 더 중요할까?
결론 효율적으로 남을 돕고 싶다면 _ 265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부록 착한 일을 하기 전에 물어야 할 4가지 질문 _ 270
주 _ 274
 

 

출처 : YES24

 

3. 그루생각

처음부터 지속적으로 생각을 하게 만든다. 내가한 선행이 다른 누구에게는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를 고민하게 만든다.

<이타주의자>란 본분에서도 언급 했고, 사전적으로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는 주의로, 행동의 목적을 타인에 대한 행복에 둔다는 것으로, 남보다 자신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는 이기주의와 반대된다.'는 의미로 사용되는데 <냉정한>이란 형용사가 붙어 부자연스러운 의미로 사용되어진다.

예시에서 보듯 펌프를 설치하는 사업을 진행하면서 오히려 부작용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단편적인 시각은 많은 예산을 들이더라도 제대로된 성과를 얻을 수 없고, 오히려 다른 사안이 해결하려는 목표와 맞물려 엉뚱하게 좋은 성과를 발휘하기도 한다.

근본적으로 무엇이 문제인가를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봐야 한다. 경제적으로 상위에 있는 나라에서는 경제적 여건이 좋지 않는 국가에 자신의 시각과 기준으로 투자하기에만 급급하다.

세계2차대전 전 무분별하게 땅따먹기식의 식민지를 넓혀 오면서 많은 부를 축적해왔거나 세계2차 대전 후 막대한 경제적 부를 누리고 있는 나라에서는 식민지식 관점과 지난 날의 과오 혹은 세계를 위한다는 식으로 기부를 한다.  하지만, 받는 사람들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이러한 것들이 폭력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여기에서 제시한다. 나는 상대방이 좋다고 밥이나 빵을 권하고, 직접 먹여주기도 한다. 그러나 먹는 사람은 배가 부르지 않거나 먹을 생각이 젼혀 없음에도 이를 강제적으로 행한다면 폭력이 된다. 군대에서는 '가혹 행위'로 규정하여 처벌을 하고 있다.

나머지는 조금 후 보충하기로

 

반응형

'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넥터  (0) 2022.08.30
로컬 지향의 시대  (1) 2022.08.30
다산의 마지막 공부 (마음을지켜낸다는 것)  (0) 2022.08.30